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오피니언

스테이블코인(Stablecoin) 파헤치기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의 등장배경

가상자산의 가장 큰 장점 중 하나는 국제 송금이다. 시중은행보다 송금이 빠를 뿐만 아니라 수수료도 저렴하기 때문이다. 기존 은행에서 국제 송금을 할 경우 영업일 기준 최소 2일, 최대 5일까지 소요된다. 한화자산운용에 따르면 국제 송금 서비스를 제공하는 웨스턴 유니온을 이용할 경우 송금 소요 시간은 3~5일이며, 송금 수수료는 9.7달러다. 반면 비트코인을 이용할 경우 송금 소요 시간과 수수료는 각각 1.3시간과 0.4달러가 소요된다.

 

그런데도 가상자산은 천차만별인 가격과 높은 변동성으로 인해 금융거래에 적합하지 않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1원부터 3,700만원까지 다양한 가상자산 가격이 하루 만에 적게는 10%, 많게는 50% 이상 등락하는 일이 빈번하게 일어나기 때문이다. 즉 송금하는 도중에 가격이 변할 만큼 변동성이 크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고 가상자산을 해외 송금에 사용하기 위해 등장한 가상자산이 바로 ‘스테이블코인(Stablecoin)’이다. 스테이블코인은 이름 그대로 가격이 안정적인 가상자산을 의미한다. 발행 주체는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스테이블코인의 가격을 법정화폐 가격과 동일하게 유지하며, 국제 송금 또는 결제에 스테이블코인을 활용한다.

 

현재 민간기업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의 시가총액은 100조원이 넘었으며, 국제 송금이나 법정화폐의 지위가 불안정한 곳, 가상자산 파생상품 거래소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 글에서는 스테이블코인이 어떻게 발행·유지되고, 어떠한 가치를 지니는지 살펴보고자 한다.

 

 

Case 1.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방식은 크게 ▲법정화폐 담보 ▲가상자산 담보 ▲알고리즘 방식으로 나뉜다. 먼저 법정화폐 담보 방식은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블록체인 팀이 보유한 법정화폐의 가치만큼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방식이다. 1달러와 스테이블코인 1개를 연동한 블록체인 팀이 100만 달러를 보유하고 있다면, 스테이블코인 100만 개를 발행하는 형태다.

 

법정화폐 담보 스테이블코인, 테더(Tether)

 

위와 같은 방법으로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대표적인 팀이 바로 테더(Tether)다. 테더에서 발행한 스테이블코인 'USDT' 1개의 가격은 1달러의 가치를 지닌다. USDT는 테더에 달러를 입금해 교환하거나 테더마켓에서 비트코인으로 구매할 수 있다. 반대로 1USDT를 테더에서 1달러로 교환할 수도 있다. 이에 USDT 가격이 1달러 이하로 떨어지더라도 테더에서 1USDT를 1달러로 교환하면 되기 때문에 1USDT의 가격은 1달러로 유지된다. USDT는 가장 대중적으로 쓰이는 스테이블코인으로써 전체 가상자산 중에서 3위의 시가총액을 기록하고 있으며, 그 금액은 약 70조원에 달한다.

 

이처럼 법정화폐 담보 방식이 안정적이고 완벽해 보이지만 중앙화된 기관에 의해 운영되기 때문에 발행량만큼의 법정화폐 금액이 알맞게 유지되는지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렵다. 이에 외부 감사와 같은 방법으로 법정화폐 담보 방식에 대한 검증이 이루어지고 있다.

 

 

Case 2. 가상자산 담보 스테이블코인 대출 서비스

가상자산 담보 방식은 법정화폐 대신 이더리움을 비롯한 가상자산을 담보하여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방식이다. 스테이블코인 발행을 원하는 이용자가 가상자산을 스마트 컨트랙트에 담보로 맡기면 미리 설정된 비율에 따라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일종의 담보 대출 서비스다. 담보로 맡겼던 가상자산을 다시 되돌려 받고 싶다면, 동일한 스마트 컨트랙트에 원금과 이자를 더한 스테이블코인을 지급하면 된다. 또한, 법정화폐 담보 방식은 발행과정이 중앙화되어 있는 반면에 가상자산 담보 방식은 발행과정이 탈중앙화되어 있다.

 

가상자산 담보 스테이블코인, 메이커다오(MakerDAO)

 

대표적인 가상자산 담보 스테이블코인 대출 서비스는 메이커다오(MakerDAO) 팀에서 발행하는 다이(DAI)다. 다이는 1달러의 가치를 유지하도록 설계되었다. 메이커다오는 가상자산을 담보로 스테이블코인인 다이를 발행하며, 일반적으로 담보로 예치한 가상자산 가격의 60% 정도까지 다이를 발행할 수 있다.

 

이처럼 담보 가능 비율을 60%로 설정한 이유는 담보로 맡긴 가상자산 가격의 변동성에 대응하기 위함이다. 담보로 맡긴 가상자산의 가격이 발행(대출)한 다이의 가격과 비슷해지면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담보가 자동으로 청산된다. 반면 담보로 맡긴 가상자산의 가치가 상승하는 경우 다이를 추가로 발행(대출)할 수 있다. 결국, 1달러라는 다이의 가치는 스마트 컨트랙트에 의해 유지된다.

 

 

Case 3. 담보가 필요 없는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알고리즘 방식은 법정화폐나 가상자산 등 특정 자산을 담보로 두지 않고 스테이블코인을 발행하는 방식이다. 알고리즘에 따라 수요량과 공급량을 조절하여 가격 안정성을 유지한다는 점에서 중앙은행이 국가화폐를 관리하는 방식과 상당히 유사하다. 다만 관리 주체가 중앙은행이 아닌 알고리즘이라는 점에서 차이가 존재한다. 알고리즘 방식은 스테이블코인의 가격이 설정한 기준보다 낮아질 경우 공급량을 감소시켜 가격상승을 끌어내며, 반대의 경우 스테이블코인을 추가로 발행하는 방식으로 가격을 안정시킨다.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테라(Terra)

 

대표적인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으로는 티몬 창업자로 유명한 신현성 의장이 만든 테라(Terra)에서 발행하는 UST가 있다. 테라는 스테이블코인인 UST(=1달러)와 채굴 토큰인 루나(LUNA)를 이용하여 스테이블코인 시스템을 구축했다. UST의 가격이 1달러 미만으로 떨어지면, 테라는 루나를 이용해 UST를 매입·소각하는 방식으로 UST의 가격을 끌어올린다.

 

반면 UST의 가격이 1달러를 초과하면 루나 보유자들이 루나를 테라에 보내 UST를 추가로 발행하고, 송금된 루나를 소각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UST의 가격은 유지된다. 다만 알고리즘 기반 스테이블코인 또한 거래량이 한꺼번에 증가하면 가격이 불안정하게 변동할 수 있다.

 

 

기대와 우려

2021년 7월 14일 제롬 파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 의장은 미국 하원 금융서비스위원회 청문회에서 중앙은행 디지털 화폐(CBDC)에 대한 연준의 예상 보고서가 9월 초에 나올 것이라고 말했다. 또한, 그는 “미국 정부의 디지털 화폐가 나온다면 스테이블코인은 더는 필요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CBDC는 정부에서 가치를 보증하는 정부가 발행하는 스테이블코인을 칭한다.

 

각국의 중앙은행은 민간 차원의 스테이블코인 발행이 증가하자, 현재의 화폐 주권을 지키기 위해 CBDC 발행을 고심하고 있다. 민간이 발행한 스테이블코인의 사용이 점차 보편화하면 화폐 발행자로서의 중앙은행의 지위가 떨어지기 때문이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CBDC를 발행하겠다는 것이 각국 중앙은행의 심산이다.

 

그렇다면 CBDC의 등장으로 인해 스테이블코인은 사라질까? 필자는 스테이블코인이 CBDC로 인해 영향받을 수는 있어도, 사라지지는 않으리라 전망한다. 또한, CBDC와 스테이블코인이 함께 활용되는 방향으로 생태계가 발전하리라 예측한다. 왜냐하면 보안상의 이유로 쉽게 변경이 불가능한 CBDC의 단점을 스테이블코인을 통해 보완할 수 있기 때문이다. 다만 차별화된 가치를 지닌 특정 스테이블코인만이 살아남을 것으로 예상하며, CBDC의 페인 포인트를 정확히 집는 것이 관건이라고 사료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