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

(32)
[해시마스크(Hashmasks) 파헤치기 시리즈 ②] 해시마스크의 특징 2. 해시마스크의 특징 2.1. 해시마스크의 판매 방식 해시마스크는 본딩 커브(bonding curve) 방식으로 판매되었는데, 판매 수량이 16,384개로 한정되었다. 본딩 커브 방식으로 인해 구매자는 어떠한 해시마스크(작품)를 가지게 될지, 그 마스크가 얼마나 희소성이 있을지 전혀 알지 못했다. 또한, 지갑주소 하나당 최대 20개의 해시마스크를 구매할 수 있었다. 판매는 2021년 1월 28일부터 시작되었으며, 1월 28일부터 6일 동안 무려 151억 5,000만 원어치의 해시마스크(작품) 판매가 이루어졌다. 해시마스크의 판매는 오픈씨(OpenSea)에서 단독으로 진행되었으며, 오픈씨는 해시마스크 판매를 통해 약 25억 원의 수수료를 취득하였다. 2.2. 해시마스크의 희소성 해시마스크는 아티스트와 소..
[해시마스크(Hashmasks) 파헤치기 시리즈 ①] 들어가며 1. 해시마스크란? 해시마스크는 전 세계 70여 명의 아티스트가 만든 살아 있는 디지털 아트 수집품이다. 각 작품마다 피부색, 캐릭터, 마스크, 눈동자의 색깔 등이 다르며, 고유한 이름이 존재한다. 해시마스크 역시 NFT 프로젝트이기에 ERC-721로 발행된다. 1.1. 해시마스크의 유형 해시마스크는 Character / Mask / Eye Color / Skin Color / Item / Background / Glyph / Set 별로 하위 유형이 존재하며, 해시마스크 메인 페이지에서는 16,384개의 작품 중에서 1,473개의 작품을 유형별로 분류하고 있다. 홈페이지에서 각 작품을 클릭하면 작품의 이름, 소유자의 지갑주소, 축적된 NCT(Name Change Token), 카테고리별 특징, 이름 및..
[더 그래프(The Graph) 맛보기 시리즈 ②] 더 그래프 네트워크 이전 글에서 더 그래프가 블록체인상의 데이터를 어떻게 인덱싱하고 쿼리하는지 알아보았다. 그렇다면 더 그래프는 어떻게 탈중앙화를 구현할까? 2. 더 그래프(The Graph) 네트워크 2.1. 온체인 데이터에 접근하는 방법 (기존) 1. 온체인 데이터를 모두 저장하는 방법 : ex) bitcoin.org에서 Bitcoin Core 다운로드하기 (장점) 제3자에게 의존하지 않고 정확한 정보를 얻을 수 있다. (단점) 참을성을 가져야 한다… ㅠ_ㅠ 2. 온체인 데이터를 정리해주는 서비스(제3의 기관)를 이용하는 방법 : ex) 이더스캔에서 이더리움 네트워크 데이터 검색하기 (장점) 비교적 수월하게 온체인 데이터를 검색할 수 있다. (단점) 이더스캔이라는 제3의 존재를 신뢰해야 한다. 탈중앙화 NO! 2.2. ..
[더 그래프(The Graph) 맛보기 시리즈 ①] 들어가며 1. 더 그래프(The Graph)란? 더 그래프는 블록체인상의 데이터를 인덱싱하고 쿼리하는 탈중앙화 프로토콜이다. 더 그래프는 쿼리가 어려운 데이터를 쉽게 쿼리할 수 있도록 도와주며, 중앙화된 서비스에 의존하지 않고 탈중앙 API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블록체인 네트워크상에 축적된 데이터에 정보요청을 중개한다. - 인덱싱 : 데이터를 찾아 보기 쉽도록 일정한 순서로 나열하는 작업 - 쿼리 : 데이터를 보여달라고 요청하는 작업 1.1. 블록체인상의 데이터? 온체인 데이터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온체인 데이터를 통해 어플리케이션이나 프로토콜을 설계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현황을 분석하여 투자에 활용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채굴자 데이터, OTC(장외거래) 데이터 등을 분석하여..
가상자산소득은 금융투자소득으로 분류되는 것이 적절하다. 가상자산소득에 대한 2021 세법 개정안 2021 세법 개정안에 따르면 2022년부터 가상자산 양도소득 및 대여소득에 대해서는 250만 원을 공제한 나머지 금액에 대해 기타소득세를 20%의 단일세율로 과세해야 한다. 예를 들어 비트코인에 투자하여 1,000만 원의 시세 차익을 거두었다면 250만 원을 뺀 나머지 750만 원의 20%에 해당하는 150만 원을 세금으로 납부해야 한다. 다만 150만 원은 거래 수수료를 제외한 금액으로, 실제 세금은 거래 수수료를 비롯한 필요 경비를 합산하여 계산된다. 또한, 기타소득세를 계산할 때는 먼저 매입한 가상자산부터 순차적으로 양도한 것으로 간주하는 선입선출법이 적용된다. 이를테면 거주자가 가상자산을 200만 원, 300만 원, 400만 원에 1개씩 분할 매수한 뒤 ..
[TECH B Conference] 컨퍼런스 강연 요약 THCH B Conference NFT, 디지털 자산 시대의 서막 : 디지털 크리에이터 세상, NFT에 올라타라 주최 : TechM, 한국블록체인사업협동조합 후원 : coinplug, 블루베리NFT, 델리오, 디라이트, 블록워터 등 일시 : 2021.7.1.(목) 13:20 ~ 18:00 장소 : 드림플러스 강남 1일 테크 전문 미디어 테크M은 서울 강남구 드림플러스 강남센터에서 '테크B 콘퍼런스: NFT, 디지털 자산 시대의 서막' 행사를 열고 유튜브 채널 '템TV'를 통해 온라인 생중계했다. 강연 요약 NFT, 플랫폼과 규제의 역할 : 코인플러그 박성준 메타파이 팀장 국내 컨텐츠 기업은 규제로 인해 NFT 도입에 소극적임 정부는 가상자산을 광범위하게 정의하며, FT와 NFT를 동일하게 봄 코인플러그는..
NFT(Non-fungible token)의 생태계 좋은 자료가 있어 공유 드립니다.
암호화폐/블록체인 관련 사이트 소개 1탄 - 언론 안녕하세요, 암호화폐/블록체인 관련 언론 사이트들을 정리해 보았습니다. 1. Coindesk KOREA 코인데스크코리아는 우리나라 여러 신문사 가운데 가장 높은 신뢰도를 자랑하는 한겨레신문사의 자회사 22세기미디어와 블록체인 분야 글로벌 선도 미디어 코인데스크가 함께 만든 블록체인 전문매체입니다. 한겨레신문사는 오랜 군부독재 하에서 참언론을 향한 국민의 염원이 만들어낸 신문사입니다. 6만여 국민 주주가 조금씩 돈을 모아 1988년 5월 한겨레신문을 창간했습니다. 창간 이래 수많은 특종으로 우리나라 민주주의의 보루를 자임해왔고, 최근에도 ‘박근혜-최순실 게이트’ 보도, 전두환 은닉재산 추적보도, 국가정보원 대선 여론조작 사건 보도 등 대특종을 통해 권력과 자본으로부터 독립된 신문으로서 제 구실을 해왔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