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블록체인]/NFTX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④] NFTX의 로드맵

4. NFTX의 로드맵

 

NFTX의 첫 번째 로드맵은 NFT 펀드(ERC20) 대출 서비스를 운영하는 것이다. NFT 보유자들은 자신의 NFT를 안전하게 보관하는 동시에, 토큰(D1, D2 펀드)을 발행하는 방법이 아닌 다른 유동화 수단을 고민할 수 있다. NFTX 재단은 이러한 니즈를 반영하여 잉여 D1 토큰을 보유함으로써, NFT 수집가에게 저금리의 ERC20 대출을 제공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것이다. 해당 대출 서비스는 청산 가능성이 낮다는 점에서도 매력적이다.

 

두 번째 로드맵은 랜덤 팩 및 기프트 카드 서비스이다. NFTX에서의 거래가 증가하게 된다면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도입을 고려해볼 수 있으며, 랜덤 팩 및 기프트 카드 판매는 그 중에서도 실현 가능성이 매우 높은 서비스이다. 이를테면 펀드(ERC20)을 소각하여 NFT로 상환할 때, 기존 NFT로 상환할지 랜덤 NFT로 상환할지 사용자에게 선택권을 주는 서비스를 고려해볼 수 있다. 이러한 서비스는 NFTX로의 유입을 증가시키는 하나의 장점으로 자리할 수 있다.

 

 

5. 나가며

 

NFTX는 비()유동적인 NFT의 유동성을 높이는 방안에 대한 고민으로부터 시작되었다. 그들은 펀드에서 아이디어를 얻어 NFT를 예치하면 그에 해당하는 토큰(ERC20)을 발행하는 비즈니스를 고안해냈으며, 실제로 NFT 시장의 유동성 증가에 기여하였다. 필자는 이 자체만으로도 NFTX의 존재 가치가 충분하다고 판단하지만, NFTX의 정수는 D2 펀드에 있다고 확신한다.

 

D2 펀드에 대한 설명을 읽으며 주식 시장에서의 ETF가 연상되었다. 어떠한 주식을 살지 고민할 때, 특정 섹터(반도체, IT, 2차전지 등)의 종목을 분산하여 담는 ETF가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것처럼 D2 펀드 역시 투자자들의 고민을 덜어줄 하나의 ETF로서 기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FT에 대한 많은 비즈니스 가운데 크립토키티의 미래 가치가 크다고 판단하면, 개별 NFT를 구매하기보다 크립토키티에 해당하는 D2 펀드를 구매하는 것으로 위험을 분산시킬 수 있다.

 

D2 펀드에 포함되는 자산이 디지털 수집품 게임에서 나아가 디지털 아트, 디지털 부동산, 디지털 복권 등 다양한 분야로 확장될 수 있다는 점 또한 긍정적이다. D2 펀드의 거래가 활발하게 일어난다면, 여러 유형의 NFT인덱스 펀드를 다루는 대표적인 NFT 거래 플랫폼으로 성장할 가능성이 농후하다고 사료된다.

 

그러나 NFTX의 타겟 고객층이 NFT에 투자하고 싶지만 이에 대한 지식이 없어 어려움을 겪는 사람이라는 점을 고려할 때, 현재의 UI/UX는 그들에게 매우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일반 사용자가 과연 NFTX에서 안내하는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여 NFT 인덱스 펀드를 구매할 수 있을까? NFTX DAO는 이러한 부분을 충분히 고민해보면 좋을 듯하다.

 

 

부록

 

a. 사용자 수, 트랜잭션 수, 거래량, 스마트 컨트랙트에 담긴 자산의 총합 (30일 기준)

 

그림 22 DappRadar – NFTX statistics

 

b. 사용자 수, 트랜잭션 수, 거래량 추이 (전체 시간 기준)

 

그림 23 DappRadar – NFTX statistics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①] 들어가며

1. 들어가며 대체 불가능한 토큰(NFT; Non-fungible token)이란 하나의 토큰을 다른 토큰으로 대체하는 것이 불가능한 특정 가상자산을 의미한다. 이와 대조되는 개념으로 대체 가능한 토큰(FT; Fungible to

sam-jung.tistory.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