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 NFTX 서비스 개요
2.1. NFTX 서비스의 특징
오늘 소개해드릴 NFTX라는 비즈니스가 이러한 투자자들의 고민에 하나의 대안으로 자리할 수 있다. NFTX는 비(非)유동적인 NFT의 유동성을 높이는 것을 목표로 NFT 수집품을 지원하는 ERC20 토큰을 만들어주는 플랫폼이다. 쉽게 말해 NFTX는 NFT를 증권화하여 유동적인 거래가 가능하게끔 만들어주는 서비스이다. 서비스 사용자는 ‘NFTX Vault(이하 볼트)’라는 금고에 NFT를 예치한 대가로 동일한 가치의 토큰(vToken; ERC20)을 발행할 수 있다. 즉, 쪼갤 수 없는 NFT를 맡기고, 쪼개어 판매가 가능한 펀드를 발행하는 것이다. NFTX를 이용하면 내가 보유하고 있는 크립토펑크, 액시스, 크립토키티, 아바스타와 같은 디지털 수집품들을 하나의 펀드로 만들어 판매할 수 있다.
NFTX에서는 NFT를 볼트에 예치한 대가로 얻게 되는 토큰을 ‘D1펀드’라 일컫는다. D1 펀드는 개별 NFT 컨트랙트와 ERC20 컨트랙트를 일대일로 지원한다. 다시 말해, 소수점 단위로 쪼갤 수 없는 NFT를 맡기고, 쪼갤 수 있는 ERC20 토큰을 받는 구조이다. 받은 ERC20 토큰은 소수점 단위로 분절할 수 있기에 보유한 수량이 곧 해당 NFT에 대한 지분을 의미하게 되며, NFT 하나를 모두 구매할 필요 없이 원하는 지분만큼만 구매하면 되기에 펀드라고 칭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두 개의 ‘펑크-좀비’라는 토큰(D1 펀드)을 보유하고 있다면, 아무 때나 두 개의 ‘좀비 크립토펑크(NFT)’로 교환할 수 있다. 다른 예시로 ‘액시-미스틱-2’라는 토큰(D1 펀드)을 보유하고 있을 때, 두 개의 미스틱 부품을 가지고 하나의 ‘액시(NFT)’로 교환할 수 있다.
D2 펀드는 D1 펀드들이 결합한 밸런서 풀(Balancer pool)이다. 밸런서 풀이란 자동화된 마켓 메이커(Automated market maker)의 일종으로 매수자의 주문과 매도자의 주문에 의해 거래가 이루어지는 방식이 아닌, 특정 알고리즘에 의해 자산의 교환이 이루어지는 방식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세 개의 D1 펀드(아바스타-기본, 아바스타-랭크30, 아바스타-랭크60)를 결합하여 아바스타라는 하나의 D2 펀드(밸런서 풀)를 생성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서비스 이용자는 개별 NFT를 예치하여 발행한 여러 펀드를 가지고 있을 필요 없이, 이를 포괄하는 하나의 펀드만을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액시면 액시’, ‘크립토펑크면 크립토펑크’와 같이 특정 카테고리를 모두 포괄하기 때문에 개별 펀드에 비해 더 많은 노출효과를 일으킬 수 있다.
NFTX의 핵심은 바로 이 D2 펀드에 있다. NFTX를 NFT 수집가를 위한 프로젝트라고 생각하기 쉽지만, NFT 수집가의 대부분은 개별 NFT를 거래하는 것을 즐긴다. 이에 그들의 NFT를 예치하여 펀드를 발행할 유인이 낮다. 반면 NFT에 투자하고 싶지만 개별 NFT를 거래할 시간이 없거나 관련 지식이 부족한 사람들의 경우, NFTX에서 제공하는 D2 펀드를 구매하는 방식을 통해 NFT 투자에 참여할 수 있다. 스스로 보유하고 있는 NFT를 예치하고 펀드를 발행할 필요 없이, 관심이 있는 NFT 프로젝트(액시, 크립토키티 등)에 해당하는 D2 펀드를 구매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개별 NFT를 투자했을 때의 위험을 분산시키는 효과도 누릴 수 있다.
2.2. NFTX 서비스의 장점
NFTX 서비스의 장점은 NFT를 예치하여 발행한 펀드(ERC20)로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NFTX에 등록된 다양한 펀드를 비교하며 분배 구조가 뛰어나고 가격 경쟁력이 높은 NFT 프로젝트를 발견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다. 스시스왑을 통해 토큰화된 NFT를 즉시 판매할 수 있으며, NFT 시장의 유동성을 증가시키는 점 또한 장점이다. 서비스 주체별로 분류하였을 때의 서비스 이용 혜택은 다음과 같다.
2.2.1. NFT 수집가(NFT Collectors)
NFT 수집가는 일반적인 형태의 NFT로는 수익을 창출할 수 없다. 해당 NFT를 판매할 때의 차익만이 발생할 뿐이다. 그러나 NFT를 예치하고 D1 또는 D2 펀드(ERC20)를 발행함으로써 디파이 서비스 이용이 가능해진다. 즉, NFT 수집가는 NFTX 플랫폼을 활용하여 보유한 NFT에 대한 부가적인 가치를 창출할 수 있다.
- 프로토콜 수수료 획득 (미출시)
- 유동성 제공자로서 거래 수수료 획득
- 펀드(vToken)를 대출 담보로 활용하는 스테이블코인 Farm 운영
2.2.2. NFT 예술가(NFT Artist)
NFT 예술가는 NFTX 프로토콜을 활용함으로써, 배포의 범위와 공정성을 개선하는 동시에 프로토콜 수수료를 영구적으로 획득할 수 있다.
- 프로토콜 수수료 획득 (미출시)
- vToken 형태로 AMM을 통해 NFT 배포
- 새로운 콘텐츠를 위한 즉각적인 유동성 시장 형성
2.2.3. NFT 투자자(NFT Investor)
NFT 시장은 현물 시장에서의 부동산과 같이 거래가 빈번하게 일어나지 않기에 유동성이 낮은 것이 특징이다. 이에 특정 NFT에 대한 적정한 가격을 산정하기가 어렵다. NFTX는 NFT 유동화를 통한 거래 활성화를 지향하며, 이로 인해 시장에 대한 투자와 차익거래를 훨씬 용이하게 만든다는 점에서 NFT 투자자를 유입시킨다.
- NFT 거래가 가능한 가장 유동적인 시장으로의 접근
- NFT의 특정 카테고리에 대한 가격 추적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③-1] NFTX 서비스 이용 절차 - 1. NFT 예치하여 펀드(ERC20) 발행하기
3. NFTX 서비스 이용 절차 본 장에서는 NFTX 서비스를 이용하는 구체적인 방법을 살펴보고자 한다. 3.1. NFT 예치하여 펀드(ERC20) 발행하기 첫째, 펀드(ERC20)로 발행할 NFT를 선택한다. app.nftx.org에 개인
sam-jung.tistory.com
'[블록체인] > NFTX' 카테고리의 다른 글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③-4] NFTX 서비스 이용 절차 - 4. NFT 인덱스 펀드 발행하기 (0) | 2021.07.12 |
---|---|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③-3] NFTX 서비스 이용 절차 - 3. 볼트 생성하기 (0) | 2021.07.12 |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③-2] NFTX 서비스 이용 절차 - 2. 펀드(ERC20)를 NFT로 교환하기 (0) | 2021.07.12 |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③-1] NFTX 서비스 이용 절차 - 1. NFT 예치하여 펀드(ERC20) 발행하기 (0) | 2021.07.12 |
[NFTX 파헤치기 시리즈 ①] 들어가며 (0) | 2021.07.12 |